지원사업

연구모임활동

[편집 저널리즘 연구소] 팩트, 그 이상의 임팩트를 향해 : 제목의 폭발력 키우기

2023.10.27

본문

편집기자 모임인 '편집 저널리즘 연구소(간사:하정호 국민일보 기자)'가 10월 20일 모임을 가진 후 제공한 강의 내용을 공유합니다.


□ 주제: 팩트, 그 이상의 임팩트를 향해 - 제목의 폭발력 키우기

□ 강사: 김남준 동아일보 부장


faa69562460c65c36cadc801b466e963_1698366784_1484.jpg 

<편집 저널리즘 연구소 회원들이 김남준 동아일보 부장의 강의를 듣고 있다.>


Chapter1. 편집 원리


EP.1 차이

- 인물의 처지나 사건의 상승폭 또는 하락폭이 드라마틱하게 큰 제목엔 센 전압이 걸린다. 

- ‘끝 모를 추락‘ 올드보이 오대수 vs. ‘신분 상승의 끝판왕‘ 신데렐라 


EP.2 충돌

- 제목의 임팩트는 ‘충돌’에서 나온다. ‘만제충돌(萬題衝突)의 법칙’

- 차이의 거리가 먼 것들을 짝지어 충돌시킬수록 임팩트의 에너지가 큰 제목이 나온다.


EP.3 융합

- 빛나는 제목은 ‘입자’처럼 손에 잡히는 알갱이가 단단하면서도, ‘파동’처럼 가슴을 두드리는 파도로 밀려온다.

- 임팩트가 큰 제목은 수소폭탄과 같다. 충돌로 인한 분열 에너지가 의미 융합을 일으킬 때 거대한 위력 발휘.


▶ 차이, 충돌, 또는 융합의 적용 예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이성복)

내가 내린 닻, 내 덫이었구나 (황지우)

못난 놈들은 서로 얼굴만 봐도 흥겹다 (신경림)

함박눈이 내립니다, 모두 무죄입니다 (고은)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 (폴 발레리)

이렇게 살 수도 없고 이렇게 죽을 수도 없을 때 서른 살은 온다 (최승자)

완벽한 이해 없이도 완벽한 사랑을 한다 (영화 ‘흐르는 강물처럼’ 대사)

상상력에게 권력을 (프랑스 68혁명 구호)


EP.4 수사

- 제목도 설득의 기술이 필요하다. 독자와 유대감을 쌓고(에토스), 이해시키고(로고스), 마음을 움직여라(파토스)!

- 맨 앞장에 골프공 만한 구멍이 난 전단지, 전단지 안쪽엔 자선단체가 후원하려는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의 모습 “이 아이의 팔은 골프공 만한 구멍에 모두 들어갈 만큼 앙상합니다.”


EP.5 공감

- ‘물고기‘와 같이 뇌 속에서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단어(구상적 단어)는 ‘혼란‘과 같은 추상적인 단어보다 우리 뇌에서 훨씬 빨리 처리된다. 

  ‘키스‘와 ‘물고기‘를 비교하면 둘 다 구상적 언어이지만 ‘키스‘처럼 감정적 내용이 담긴 단어가 우리 뇌에서 빨리 처리된다. 

  즉, 우리 뇌는 감정적 내용이 있는 구상적 단어를 더 좋아한다.


EP.6 압축

- 가장 성공적인 美 대선 슬로건으로 꼽히는 아이젠 하워의 “I Like Ike.”는 그의 애칭인 ‘Ike’를 활용해 3개의 짧은 단어로 후보의 개인적 매력을 극대화했다.


EP.7 스틱

- 단순성(Simplicity): “완벽함이란 더 이상 보탤 것이 남아있지 않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뺄 것이 없을 때 완성된다”

- 의외성(Unexpectedness): 메시지에 관심을 갖게 만들려면 사람들의 직관에 반하는 결론을 내세워라. 패턴을 파괴하라.

- 구체성(Concreteness): 뇌는 정의나 규범 같은 추상명사보다 자전거나 휴대폰같이 형상화할 수 있는 명사를 더 잘 기억한다.

- 신뢰성(Credibility): ‘태양에서 지구로 돌을 던졌는데 목표 지점에서 600m 이내에 떨어질 정도의 정확성’보다는 ‘뉴욕에서 LA로 돌을 던졌는데 목표 지점에서 1cm 밖에 어긋나지 않을 정도의 정확성’이 더 인상적으로 와닿는다.

- 감성(Emotion): “300만 명에 달하는 말라위의 어린아이들이 식량부족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라는 식의 호소문보다는 “말라위에는 하루 한 끼도 제대로 못 먹는 일곱 살 짜리 소녀 로키아가 있습니다”라는 식의 이야기가 훨씬 더 효과적이다. 분석적인 사고는 감정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 스토리(Story): 데이터란 수천 개의 스토리를 요약한 것에 불과.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면 스토리를 들려줘야 한다.


▶ 제목·카피에 적용해보니

의사 신부의 ‘거룩한 우울증’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신뢰성, 감성, 스토리)

쌍둥이는 아빠를, 兄소방관은 동생 소방관을, 우리는 義人을…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감성, 스토리) 

“악수는 해도 미소는 안돼”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감성, 스토리)

부안 계량기는 거꾸로 돈다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스토리)

그날 경찰은 조폭이 무서웠다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감성, 스토리)

배를 타자 할아버지는 야수로 변했다 (의외성, 구체성, 감성, 스토리)

국보 1호도 못 지킨 대한민국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신뢰성, 감성, 스토리)

여보, 아버님 댁에 보일러 놓아드려야겠어요 (단순성, 구체성, 감성, 스토리)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신뢰성)

그녀의 자전거가 내 가슴속으로 들어왔다 (단순성, 의외성, 구체성, 감성, 스토리)

넥타이와 청바지는 평등하다 (단순성, 구체성, 감성)

브루클린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의외성, 구체성, 감성, 스토리)

미션 임파서블 (단순성, 의외성, 감성, 스토리)